기존 타입, 인터페이스의 변경은 이미 그 타입을 사용하고 있는 코드에 모두 똑같은 변경을 가해줘야한다. 만약 해당 타입을 쓰는 모든 코드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특정 코드만 자유롭게 타입을 확장하고 싶을 땐 인터셉션 타입과 유니언 타입을 사용하면 된다. 🤓 Intersection ▶ And A타입이면서 B타입(A&B) Union ▶ Or A타입, B타입 둘 중 하나(A|B) 📝 Union Type 유니언 타입은 여러 타입 중 하나가 올 것이라고 가정할 때 사용한다. 유니언 타입은 세로 막대바를 사용 '|' 유니언 타입을 사용하면 TypeA, TypeB가 있을 때 A | B는 A와 B 둘중 하나라는 의미를 나타냄 one:string이거나 number 둘중 하나 Union과 Generic 공통점은 모두 여러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