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ype Guard 타입 가드는 데이터의 타입을 알 수 없거나 될 수 있는 타입이 여러 개라고 가정할 때 조건문을 통해 데이터의 타입을 좁혀나가는 것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대응하여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고, 타입을 통해 '가드'하는 코드라고 해서 타입 가드라고 한다. 타입 카드를 통해서 방어적인 코드를 짤 수 있다. 📝 구별된 유니온(Discriminated Union) elice 변수가 Human인지 Dog 타입인지 확신할수 없기 때문에 elice.think() 메서드를 호출 하거나 elice.bark()메서드를 호출하면 에러가 난다. 이때 타입스크립트가 타입을 추론할 수 있도록 단서를 준다. 타입을 추론할 수 있도록 단서를 주는 유니온 타입을 구별된 유니온 타입이라고 한다. 타입을 구별할 수 있는 단..